yuna's lifelog


  • '이 책은 마치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는 공상과학 소설처럼 읽어야한다… 우리는 생존 기계다. 즉, 우리는 유전자로 알려진 이기적인 분자들을 보존하기 위해 맹목적으로 프로그램된 로봇 운반자들이다.' - 두근두근. 왜 여태 이책을 안읽었는지 모르겠다! 동네 북카페에서 눈에 띄어 빌려옴 2013-05-27 20:24:46

이 책의 서문과 목차에서 흥미를 끄는 부분들이 어쩐지 칼 세이건과 앤 드루얀의 잊혀진 조상의 그림자의 그것과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어 뒤져보니, 이 책의 초판이 나온 것이 1976년, '잊혀진 조상의 그림자'는 1980년대 초반에 쓰여져 1992년에 출간되었으며, 서문과 7장에 리쳐드 도킨스를 언급하고 있다. 그러니까 과학 이론을 흥미롭고 쉽게 풀어낸 것도 도킨스의 영향을 받은 건가. 2013-05-27 21:27:27

'이기적 유전자'를 읽으며 나를, 사람들을, 살아가는 일을, 계속 다시 생각한다. 이런 풀밭에 비친 햇빛을 보며 느끼는 것 같은, 아주 깊고 오랜 행복감 같은 것들에 대해. 나는 어째서 이런저런 것에 행복해하고 불행해하는지. 풀밭이나 숲속을 거닐며 느끼는 이런 행복감은 아마도 풀과 나무를 좋아했던(=먹이로 삼았던) 어떤 개체(들)의 유전자가 풀밭에서 숲속에서 배불리 먹고 마음껏 뛰놀며 느꼈을 행복과 생존에 대한 기대를, 그 결과를 수백만년 후의 나도 본능적으로 느끼는 것이겠지.

나를 괴롭히는 이 우울 유전자는 그 치명적인 성향에도 불구하고 어째서 절멸하지 않고 수백만년을 살아남아 나에게까지 왔을까. 그에게는 다른 어떤 '생존 기술'이 있었을까.누구에게나 어떤 '생존 기술'이 있어서 수백만년에 걸친 유전자 경쟁의 과정에서 지금까지 살아남아온 거 아닌가. 아무리 열등한(?) 개체라도 그 안에 경쟁에서 살아남은 우수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니 사람들 하나하나가 조금은 달라보여.

어쨌든 이 모든 게 유전자의 뜻(?)이라고 생각하면 왠지 모든게 더 단순하고 유쾌해지는 기분이랄까. 나를 괴롭히는 것이든 행복하게 하는 것이든, 이 모든 게 어떤 오래된 거대한 시스템 안에서 끊임없이 '돌아가고' 있다니 왠지 안심이 되는 느낌이랄까. 써놓고 보니 사람들이 종교에 대해 느끼는 것과 흡사하군.

1장 사람은 왜 존재하는가?

2장 자기 복제자

'원시 수프(primeval soup)'에서 '자기 복제자(replicator)'가 생겨나고, 장수, 다산성, 복사의 정확성을 가진 안정한 자기 복제자(분자)들로 가득차게 된다. 그리고 '자기와 경쟁하는 분자를 화학적으로 파괴하는'(=먹는?) 생존경쟁이 일어나는 과정.

'자기 복제자는 단순히 존재하는 것만이 아니라 계속 존재하기 위해 자신을 담을 그릇, 즉 운반자를 만들기 시작했던 것이다... 그들은 우리의 몸과 마음을 창조했다. 그리고 그들이 살아있다는 사실이야말로 우리가 존재하는 궁극적인 이론적 근거이기도 하다.' - 과학자들의 글은 정말로, 놀랍다. '잊혀진 조상의 그림자'에도 비슷한 얘기가 나옴 2013-05-27 23:32:43